[일반물리학] 역학적 에너지 관련 O/X 문제 (friction, non-granular system, change in mechanical energy, energy loss due to friction, work done by friction, particle system, internal energy)
질문 요약마찰이 존재하는 비고립계에서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은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이 X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마찰이 한 일이 아닌가요?답변 요약점입자에 대한 표현이라면,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은 마찰에 의한 일과 동일하다는 표현이 맞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조건에 입자계가 아닌 다른 요소가 있다면, 일부 마찰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내부에너지로 변하므로, 이에 따라 역학적 에너지 변화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조건을 다시 확인하고 이해되지 않는다면 추가로 질문 주시면 도움 드리겠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friction, non-granular system, cha..
2023. 9. 11.
[일반화학] 화학평형과 열량의 관계에 대한 질문 (Chemistry, chemical reaction, exothermic reaction, reverse reaction, forward reaction)
질문 요약T가 내려가면 정반응이 우세해지는데, 92kcal의 열은 더 많아지거나 같은 양인가요? 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답변 요약발열반응에서 온도가 내려가면 정반응이 우세해지게 되고, 열량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열량은 반응식의 계수비에 맞게 측정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발생해도 변하지 않습니다. 열량은 시간 당 발생하는 양은 증가할 수 있지만, 화학 반응식이 바뀌지 않는 한 반응 엔탈피는 일정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chemical reaction, exothermic reaction, reverse reaction, forward reaction ) 일반화학 - 화학평형과 열량의 관계 화학을 공부하면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화학 ..
2023. 9. 8.
동역학 한방에 끝내기 38강 - T3 구하기와 v3의 의미 (physics, energy, dynamics, T3, point A, reference, interpretation, v3, v_B, differences)
질문 요약T3를 구하는 과정에서 A점을 기준으로 해석한 이유와 v3와 v_B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책에서 사용하는 기호와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에서 언급한 V3는 막대의 위치에너지와 탄성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운동에너지는 바닥에 떨어진 후에도 회전운동에너지로 남아있습니다. T3는 회전운동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이해에 참조할 수 있는 이미지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링크](https://godjunpyo.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8/202301/63c78b9c22cc92335229.png) T1은 0이고 V1은 80 lb*ft입니다. 바닥에 떨어진 후, V3은 45 lb*ft이고 T3는 0.828*v_B^2입니다. V3은 막대..
2023. 9. 7.
[일반물리학] 27강 1:03:27에서 위상차 파이를 0으로 둔 이유에 대한 질문 (Wave, phase, E2, pie, slit, circular pattern, distance, double-slit experiment, two points, same phenomenon.)
질문 요약27강 강의에서, 파원의 위상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E2의 파이를 0으로 한다고 설명하셨는데, x1과 x2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파이를 0으로 해도 위상이 같아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왜 파이를 0으로 두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답변 요약이중슬릿 실험에서 스크린에 도달하는 빛은 첫 번째 슬릿과 두 번째 슬릿에서 나오는 빛이 동심원을 형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두 슬릿의 원형 패턴을 생각한다면 같은 위상을 가지지만 거리가 다른 빛으로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이중슬릿 실험에서 두 점의 위상이 동일한 현상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Wave, phase, E2, pie, slit, circular pattern, distance, double..
2023. 9. 7.
[일반물리학] 학습 방법과 수학 필요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physics, mathematics, study, phenomenon, theory, reflection, exploration, learning difficulty, calculus, differential equations, linear algebra)
질문 요약물리학을 공부하면서 수학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물리학과 진학하려면 수학을 따로 공부해야 할까요? 수학 없이 물리학을 공부하는 데는 어떤 지장이 있을까요?답변 요약물리학과에 진학하거나 물리학을 전공하려면 수학이 필수적입니다. 수학을 통해 현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탐구를 할 수 있으며, 물리학의 학습 난이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선형대수는 매끄러운 물리학 공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려움에 부딪혀도 포기하지 않고 공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hysics, mathematics, study, phenomenon, theory, reflection, exploration, learning..
2023.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