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강의11

[유체역학] 레이놀즈 질량보존의 법칙에 대한 이해 질문 (fluid mechanics, lecture, 29 minutes 40 seconds, control volume, water, law of mass conservation, question, Reynolds number, leakage, suction) 질문 요약유체역학 한방에 끝내기 29분 40초에서 control volume을 콘으로 설정하고 물이 들어온만큼 그대로 채워지니 질량보존의 법칙에 대한 이해하는데 있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머리로는 들어온만큼 빠지는게 없으니까 질량보존이 맞지라고' 생각하게되면서도 '근데 질량보존의 법칙을 만족하려면 처음에 있던 물 그대로의 질량이 있어야하는데, 이건 들어오는 거니까 질량보존이 아니지 않나?'라는 생각은 사라지지가 않습니다. 제가 어느부분에서 놓쳤는지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답변 요약레이놈수 기술은 특정 구역에서의 물질의 유출 및 흡입은 중요하지 않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대신 control volume 내에서의 총 질량이 일정하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 2024. 2. 27.
[유체역학] 선형운동량방정식에서의 정상상태와 밀도 미분에 대한 궁금증 (linear momentum equation, induction, steady state, density, time derivative, velocity vector, dynamics, lecture, incompressible, law of mass conservation) 질문 요약선형운동량방정식 유도 중 정상상태에서 밀도를 시간에 대해 0으로 미분한 것은 이해되는데, 속도벡터를 시간으로 미분한 것이 0이 아닌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답변 요약정상상태는 시간에 따른 상태량의 변화가 없습니다. 시간에 따른 밀도의 값이 0이 되는 것은 비압축성 가정으로 인해입니다. 또한, 두 번째 gradient term은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 0이 됩니다. 정상상태와 가정한 내용을 혼동하기가 쉽습니다. 천천히 다시 한번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linear momentum equation, induction, steady state, density, time derivative, velocity vector, dynamics, l.. 2024. 2. 7.
[일반물리학] 예제22.5 풀이 (Physics, lecture, question, multiplication, relationship, substitution method, system of equations, uniform acceleration motion, graph, displacement) 질문 요약물리학2 강의 2강 1:11:10초 쯤에서 d=1/2*VT와 qE/m=V/T를 곱해서 푸셨는데 이 두 식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어서 곱해 푸셨는지 질문드립니다. 수학을 잘 못해서 왜 이렇게 풀 수 있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귀찮은 방법이었지만 저는 T=2d/V를 gE/m=V/T에 대입해서 좀 복잡하게 풀었거든요..근데 교수님은 바로 곱해서 간단하게 푸셔서 궁금했습니다..!답변 요약말씀하신 것 처럼 연립방정식 중 '대입법'을 활용해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도 풀 수 있습니다. 등가속도 운동의 그래프를 보면, 그래프의 밑넓이는 변위에 해당하고, 삼각형 넓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삼각형 넓이와 동일한 사각형 넓이를 만들 수 있다면, 그 높이는 V/2이며, 이 속도가 평균속도.. 2024. 2. 5.
[일반물리학] 강의 15강 예제 8.2: Vf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의문 (lecture, Tmax-mg, Vf, tangent velocity, direction of motion, speed, circular motion, centripetal force) 질문 요약강의 15강 48분 24초에서 설명한 Tmax-mg=m*Vf^2/R에 대해 Vf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하고 있습니다. Vf가 접선 속도인데, Vf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답변 부탁드립니다.답변 요약운동방향은 운동경로의 접선방향이며, 속도는 원의 접선방향입니다. 연직면에서의 원운동 중 최하점에서 알짜힘의 방향은 원의 중심을 향하며, T-mg는 최하점에서 작용하는 알짜힘입니다. 지름방향 가속도는 구심가속도로, 그것이 V^2/R입니다. 나머지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내용을 추가하여 운동방정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lecture, Tmax-mg, Vf, tangent velocity, direction of motion,.. 2024. 2. 1.
[일반물리학] 일반물리학1 안듣고 일반물리학2 바로들어도 될까요? (Physics, final exam, progress, enrollment, nobase, electromagnetism, mechanics, dynamics, electrodynamics, magnetodynamics, optics, modern physics, lecture, concep.. 질문 요약일반물리학2를 일반물리학1을 듣지 않고 듣고 싶습니다. 기말고사 진도를 따라가기 위해 수강하고 싶습니다. 물리의 특성상 노베이스인데 일반물리학1을 듣지 않고 일반물리학2를 듣어도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들어야 한다면 어느 단원만 듣고 넘어가도 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답변 요약전자기학은 일반물리학 II로, 일반물리학 I의 운동학과 역학을 기반으로 전기역학과 자기역학이 나옵니다. 기말고사 범위는 전자기 후반부, 광학, 현대물리학이며, 현재 업로드된 강의는 개념정립에 도움되는 강의입니다. 강의 수강은 개념을 정리하기에 도움이 되지만, 기말고사 대비 총정리용으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학물리학 I부터 차분하게 공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 2024. 1. 26.
[고체역학] compressive stress와 tensile stress의 부호에 관한 질문 (compressive stress, tensile stress, 부호, 값, 시그마, Bending moment, normal stress, 가정, 빔, 복합 재료, 등방성, strain 값, Y값, S값, 중립축, 인장, .. 질문 요약compressive stress와 tensile stress의 부호가 왜 부호만 다르고 값은 동일한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또한, 시그마=My/I 식이 대칭이 아닌 경우에는 쓸 수 없는 것인가요? Y값과 S값의 부호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답변 요약간단히 요약하자면: 1) Bending moment에 의한 normal stress와 관련하여 별개의 가정을 사용하는 것은 쉬운 방법으로 증명 위함입니다. 2) Bending moment로 인한 normal stress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식은 대칭이 아닌 빔이나 복합 재료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대칭이고 등방성인 보의 경우, 중립축을 기준으로 한쪽은 인장이고 반대편은 압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strain 값이 다릅니다. 4) 'Y'에.. 2023. 12. 28.
[회로이론] p.14 수동부호규약과 전력 계산 방법에 관한 질문 (- Nielsen textbook - Passive sign convention - Power - P - -v - i - Absorption - Supply - Lecture - Difference - Voltage - Current - Understanding) 질문 요약닐슨교재에서 수동부호규약을 만족하지 않을 때 전력을 P = -v * i로 구하고, 전력이 +일 때는 흡수, -일 때는 공급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강의에서 배우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이미지 링크:https://file.unistudy.co.kr/Data/SEDATA/minchul427__20220416164952.jpg)답변 요약수동 부호규정을 만족하는 경우, 전력은 p=vi로 계산됩니다. 이때 p 값이 +이면 해당 소자가 공급하는 전력을 의미하고, -이면 흡수하는 전력을 의미합니다. 또한, p=-vi로 계산을 하면 p=(-v)*i 또는 p=v*(-i)가 되므로 전압과 전류가 수동 부호규정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p=-vi는 해당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을 의미하며, p 값이 +이면 흡.. 2023. 11. 30.
[일반물리학] 파란색 표시된 loop의 이해를 도와주세요 (loop, resistance, lecture, circuit, analysis, order, mistake, sign, current, direction, charge, flow, resistance terminals, potential, height, assumption) 질문 요약사진에 써있는 식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loop가 8옴에서 +값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저항을 지날 때는 -값이 되어야 하는데요. 제가 이해를 잘못하고 있는 걸까요?답변 요약키르히호프 강의에서는 회로 분석 순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키르히호프 적용 시 가장 흔히 하는 실수는 부호 적용입니다. 회로를 분석하기 전에 전류의 방향을 정하는데, 이는 전하의 흐름을 의미하지만 저항 양단의 전위 높낮이를 가정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8Ω 저항의 경우 윗부분의 전위가 높고, 아랫부분의 전위가 낮을 것으로 가정합니다. 그림에서 시계방향으로 loop를 돌려 적용하면 8Ω을 지났을 때 전위가 올라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참고해서 다른 회로에도 적용해보세요.원본 바로가기 >>> U.. 2023. 10. 30.
[일반물리학] 전위와 전기적 위치 에너지에 대한 질문 (lecture, potential, electric position, energy, voltage, electric potential energy, concept, unit charge, value, actual charge, size, order, distinction) 질문 요약왜 강의에서 전위와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다른 것으로 설명하신 후에도, v(전위)를 사용하여 전기적 포텐셜 에너지라고 설명하셨을까요? 전위와 전기적 위치 에너지는 같은 개념인가요?답변 요약전위는 단위전하(+1 C)가 놓였을 때의 퍼텐셜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단위전하에 대해서는 두 값이 같지만, 실제 전하가 놓였을 때는 퍼텐셜 에너지의 크기와 대소관계가 달라지므로 이를 잘 구분해야 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lecture, potential, electric position, energy, voltage, electric potential energy, concept, unit charge, value, actual charge, size, order, d.. 2023. 10.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