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 카복실산유도체에서 R과 H 대체 가능성에 대한 질문 (Carboxylic acid derivative, R, H, substitutability, criteria, ester, RCO2R', hydrogen, functional group)
질문 요약카복실산유도체에서 R과 H 대체 가능성에 대한 기준이 무엇인가요?답변 요약에스터의 경우, RCO2R'에서 R은 H여도 괜찮지만, R'이 H가 되면 카복실산이 되기에 R'은 H여서는 안됩니다. 기준은 R이 수소로 바뀔 경우 작용기가 달라지면 안되며, 작용기가 달라지지 않는다면 괜찮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arboxylic acid derivative, R, H, substitutability, criteria, ester, RCO2R', hydrogen, functional group ) 카복실산유도체에서 R과 H 대체 가능성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유기화학을 수강 중이신 학생분의 질문에 도움이 되고자 카복실산유도체에서 R과 H의 대체 가능성에 대해..
2024. 3. 4.
기체 상수(R, R바)에 대한 의미와 사용 방법에 대해 (gas constant, R, R bar, difference, unit, value, concept, usage)
질문 요약기체 상수(R, R바)에 대해 교수님의 말씀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일반기체상수와의 차이점이 있는 건가요?답변 요약기체 상수는 단위에 따라 값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mol, kg, m, N, cal 등 여러 단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체상수의 값은 단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단위의 개념과 사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 [답변 이미지 : https://i0.wp.com/godjunpyo.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6/202204/624d0391055f89838099.png?w=1170&ssl=1]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
2023. 12. 21.
Serway 대학 물리학 2 3강 예제 23.3에 대한 질문 (Example 23.3, x, R, E=0, charge, electric field, explanation, mistake)
질문 요약예제 23.3에서 x가 R보다 클 때 E=0이 나오게 되는데,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과 동일하다고 설명하셨는데, 제 생각에서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알려주세요.답변 요약물리 문제에서 전기장을 계산할 때, 측정 위치 x가 거리 R에 비해 매우 멀다면 R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R/X의 비율이 매우 작아지게 되는데, 이 비율을 사용하여 이항정리를 적용하여 점전하에서 전기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거리가 무한히 멀어지면 전기장은 0이 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Example 23.3, x, R, E=0, charge, electric field, explanation, mistake ) Serway 대학 물리학 2 3강 예제 23.3의 이해..
2023. 12. 8.
[동역학] 원심력과 구심력에 대한 질문 (F, r, direction, acceleration, handling, Fr, calculation, friction, vertical force, problem, information)
질문 요약F가 r 방향으로 가속도를 구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답변 요약Fr을 구하기 위해서는 r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계산해야 합니다. 마찰과 수직항력은 문제에 주어진 정보에 따라 고려되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이미지](https://godjunpyo.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8/202209/6313f1cf6cefa9096062.png)를 참고하세요.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F, r, direction, acceleration, handling, Fr, calculation, friction, vertical force, problem, information ) [동역학] 원심력과 구심력에 대한 질문에..
2023. 10. 25.
[일반물리학] 변수와 상수의 사용 (direction vector, integral, magnitude of electric field vector, direction, infinitesimal electric field, superposition, symmetry in space, unnecessary calculation, z-axis, variable, z-value, determining vari..
질문 요약강좌명할리데이 일반물리학 1+2의 Chapter 22에서 방향벡터와 적분에 대한 질문입니다. 강의 1:08:04에서 보시면 마지막까지 방향벡터 z가 남아있는데 방향벡터 z는 z x (r^2 + z^2)^1/2 로 계산할 때 넣어서 k dq z / (r^2+z^2)^3/2가 나오면 그 이후부터는 방향벡터 안써도 되는 거 아닌가요? 그리고 적분할 때 상수를 적분기호 앞으로 빼는 과정에서 (r^2+z^2)^3/2도 r과 z가 이미 주어진 값이니까 앞으로 뺴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답변 요약전기장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미소 전기장을 구하고, 중첩에 대한 과정에서 공간상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불필요한 계산을 할 필요없습니다. 전기장 벡터를 크기와 방향으로 표현하였으므로, 방향은 이미 z축 방향..
2023. 10. 18.
[일반물리학]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1+2, Chapter 22. 전기장과 전기력선 강의 내용 요약 (Explanation, +1c, force, Coulomb's law, electric field, size, Q, r, relationship, direction, test charge, electric force, positive charge, ne..
질문 요약교수님께서 설명한 +1c을 받는 힘이 kQ/r^2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답변 요약쿨롱의 법칙인 kQ/r^2을 사용하여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전기장의 크기는 Q와 r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며, 방향은 시험전하가 작용하는 전기력의 방향과 일치합니다. 전기장은 선전하와 면전하의 분포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Explanation, +1c, force, Coulomb's law, electric field, size, Q, r, relationship, direction, test charge, electric force, positive charge, negative charge, distribu..
2023.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