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u2

[공업열역학] 밀폐계가역단열과정에서 방정식 유도 방법에 대한 의문 (du, dQ, dW, integral, pdv, internal energy change, boundary work, adiabatic process, work done on the surroundings, image) 질문 요약밀폐계가역단열과정에서 du = dQ - dW, dQ = 0, dW = intergral pdv로 유도한 방정식에서 du = integral pdv가 맞는 것인가요?답변 요약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구하는 내용이 이미지로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구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미지에 boundary work를 구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int. pdV를 사용하여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단열 과정에서는 시스템이 외부로 한 일의 100%가 내부에너지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시스템이 외부로 일을 100만큼 한다면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100이 됩니다. 단, 이미지를 첨부하고 업데이트 해주시면 .. 2023. 11. 17.
이상기체 방정식에서 내부에너지와 정적비열의 관계에 대한 질문 (gas, energy, internal energy, du, cvdt, equation, cv, static specific heat, specific heat at constant pressure, mixture, reasons for use) 질문 요약내부에너지를 구할 때 du=cvdt를 이용하는데, 왜 이 식에서도 cv 정적비열과 관련된 식을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을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답변 요약정적비열은 정적인 상태에서 1˚C 올리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내부에너지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정압비열은 정압 상태에서 1˚C 올리기 위한 필요한 열량을 구할 때 사용되며, 엔탈피 개념을 사용합니다. 때때로 예제에서는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을 혼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비열값을 적용하는 것이 정확하고 좋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gas, energy, internal energy, du, cvdt, equation, cv, st.. 2023. 8.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