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화학30

이종원자 분자의 MO에서 2번째 껍질의 sigma와 pi 오비탈 순서를 배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Chemistry, molecule, atom, bond, electron, shell, sigma, pi, orbital, NO, CO, carbon monoxide) 질문 요약이종원자 분자의 MO를 그릴 때, 2번째 껍질의 sigma와 pi 오비탈의 순서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강의에서 NO의 경우 pi - sigma로 그리는데 인터넷에서는 sigma - pi로 그리고 있다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또한, CO(일산화탄소)의 경우 pi - sigma 순으로 그려지는데, 이것이 왜 그렇게 그려지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답변 요약pi-sigma 순서가 맞습니다. 이성분자들은 질소까지의 동종 분자들과 유사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ecule, atom, bond, electron, shell, sigma, pi, orbital, NO, CO, carbon mon.. 2023. 8. 7.
[유기화학] 유기분자의 극성 (chemistry, molecule, structure, Lewis structure) 질문 요약루이스 구조에서 극성 분자는 친핵체로 간주되나요? C2H2는 무극성인데 친핵체 또는 친전자체가 아니라고 할 수 있나요?답변 요약친핵성도와 산성도, 염기성도는 항상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는 입체 장애, 원자 크기, 용매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F, Cl, Br, I는 친핵성과 염기도가 반대입니다. 아세탈렌은 무극성 분자이지만, 수소를 제거하면 탄소에 남은 전자로 인해 친핵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고 수소를 이탈시키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ecule, structure, Lewis structure ) 유기화학에서의 극성과 무극성 유기화학에서는 분자의 극성.. 2023. 8. 4.
[유기화학] 알켄과 알카인의 명명에 관한 질문과 오해 (chemistry, chemical formula, molecule, molecular structure, nomenclature) 질문 요약3-뷰틸옥타-4-엔이 올바른 답이 아닌가요? 왜 정답은 6-에틸-7-메틸논-4-엔인가요? 이미지 링크 : https://drive.google.com/file/d/1vMUZEYkJaUwp2deVMr2DQK3tccZdiZ5y/preview?usp=drivesdk답변 요약명명법은 화학에서 분자식을 작성할 때, 원자의 배치와 그에 따른 이름을 정하는 규칙입니다. 명명법은 일반적으로 작용기의 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을 우선시합니다. 예를 들어, 탄소가 6개인 분자에서 두 개의 탄소에 에틸기를, 나머지 탄소에 사슬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명명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예제를 활용하여 예외 사항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자식의 명명법은 복잡하므로, 힘들겠지만 열심히 공부하고 끝까지 힘내시길.. 2023. 8. 4.
[일반화학] 4강 불균일 평형 및 압력평형상수 계산 (Chemistry, equilibrium constant, chemical reaction equation, solid, liquid, mathematical equation, gas) 질문 요약압력평형상수를 구할 때 화학반응식에 고체나 액체가 있을 경우 계산식에서 제외하고 기체 상태만 사용하는 것인가요?답변 요약평형 상수에서는 물은 순수한 액체 상태일 때는 제외되며, 기체 상태일 때는 포함됩니다. 농도 평형 상수일 때는 몰수/부피를 계산하며, 압력 평형 상수일 때에는 수증기의 압력을 고려합니다. 순수한 고체나 액체는 평형 상수에서 제외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equilibrium constant, chemical reaction equation, solid, liquid, mathematical equation, gas ) 일반화학: 4강 불균일 평형 및 압력평형상수의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일반화학에 대한.. 2023. 8. 2.
[일반화학] 산과 염기에서 약한 산과 염기의 판별 (chemistry, acid, base, NH3, CH3COOH, weak base, NH4(OH)) 질문 요약NH3와 CH3COOH의 경우, NH3가 약염기로 분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전 기출문제에서는 NH4(OH)가 약염기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런 차이는 무슨 의미인가요?답변 요약암모니아는 수용액에서 NH4OH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염기 세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것은 절대적인 염기 세기와 다른 개념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acid, base, NH3, CH3COOH, weak base, NH4(OH) ) 산과 염기에서 약한 산과 염기의 판별 화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산과 염기입니다. 그러나 산과 염기 중에서도 약한 산과 약한 염기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은 조금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2023. 8. 2.
천연구리의 평균원자량에 대한 유효숫자 판단과정 (chemistry, stoichiometry, atomic mass, significant figures, engineering calculator) 질문 요약 화학량론 1강에서 설명해주신 천연구리의 평균원자량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타내게 된 유효숫자 판단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답변 요약 구리 동위 원소의 원자량은 4자리의 소수로 표현됩니다.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답을 표현하시면 됩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stoichiometry, atomic mass, significant figures, engineering calculator ) 천연구리의 평균원자량에 대한 유효숫자 판단과정 화학량론은 화학에서 물질의 양과 그것을 이용한 반응의 양을 다루는 분야입니다. 이 중에서도 원자량은 화학량론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원자량은 하나의 원자가 가진 질량을 의미하며, 화학식과 반응식에서.. 2023. 7. 27.
몰질량과 원자량의 차이 (Chemistry, molar mass, atomic weight, difference) 질문 요약 몰질량과 원자량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몰질량을 계산하기 위해 원자량을 암기해야 하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 답변 요약 몰질량은 물질 1몰의 질량을 말합니다. 원자량이라면 H, C, N, O가 가장 기본적이며, Na, S, Cl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ar mass, atomic weight, difference ) 몰질량과 원자량의 차이 화학에서 몰질량과 원자량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둘은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고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화학 반응식이나 몰 개념과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입니다. 몰질량은 물질 1몰의 질량을 말합니다. 몰질량은 단위로 g/mol을 사용하며, 원자 질량 단위에 해.. 2023. 7. 26.
[일반화학] CO3^2- 이온의 질량의 60%가 답인 이유는? (chemistry, molar mass, mole) 질문 요약 왜 CO3^2- 이온의 질량의 60%가 답인 이유인가요?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URL: 27p 예제 21-b. 답변 요약 탄산칼슘의 몰질량이 100이고, 탄산 이온의 몰질량이 60입니다. 따라서 탄산칼슘의 60%가 탄산 이온이 됩니다. 탄산칼슘은 4.86몰이므로 이를 100으로 곱하면 486g이 되는데, 이 중 60%인 291.6g가 탄산 이온(CO3^2-)이 됩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ar mass, mole ) [일반화학] CO3^2- 이온의 질량의 60%가 답인 이유는? 탄산 이온(CO3^2-)의 질량의 60%가 답인 이유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탄산 이온(CO3^2-)은 탄산칼슘(CaCO3) 등 다양한 .. 2023. 7. 26.
[일반화학] 발프로산 실험식에서 C 처리 방법 문의 (Valproic acid, Experiment design, Combustion, Reaction equation) 질문 요약 발프로산 실험식에서 C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답변 요약 발프로산의 연소 반응식에 따라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데, 각각의 몰수는 0.01mol입니다. 이산화탄소에서 탄소의 몰수를 계산하면 0.0003mol이 나오는데요. 그러므로 발생한 탄소의 몰수는 0.0003입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Valproic acid, Experiment design, Combustion, Reaction equation ) [일반화학] 발프로산 실험식에서 C 처리 방법 문의 발프로산 실험식에서 C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발프로산은 연소 반응식에 따라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됩니다. 생성된 물은 쉽게 처리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는 처리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산화.. 2023. 7.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