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compressive stress와 tensile stress의 부호에 관한 질문 (compressive stress, tensile stress, 부호, 값, 시그마, Bending moment, normal stress, 가정, 빔, 복합 재료, 등방성, strain 값, Y값, S값, 중립축, 인장, ..
질문 요약compressive stress와 tensile stress의 부호가 왜 부호만 다르고 값은 동일한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또한, 시그마=My/I 식이 대칭이 아닌 경우에는 쓸 수 없는 것인가요? Y값과 S값의 부호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답변 요약간단히 요약하자면: 1) Bending moment에 의한 normal stress와 관련하여 별개의 가정을 사용하는 것은 쉬운 방법으로 증명 위함입니다. 2) Bending moment로 인한 normal stress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식은 대칭이 아닌 빔이나 복합 재료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대칭이고 등방성인 보의 경우, 중립축을 기준으로 한쪽은 인장이고 반대편은 압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strain 값이 다릅니다. 4) 'Y'에..
2023. 12. 28.
열역학 11강 - 열역학 제1법칙과 밀폐계에 대한 궁금증 (water vapor, liquid, difference, evidence, thermodynamics, information, scarcity, home, density of water, temperature, volume, change)
질문 요약water vapor와 liquid의 양 차이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지 질문드립니다.답변 요약열역학 문제에서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문제에서 제공된 정보로 가정을 하여 답을 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물의 밀도는 상온에서 1000 kg/m3인데 온도가 100˚C일 때 물의 부피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밀도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가정은 열역학에서 자주 나오니, 알아두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water vapor, liquid, difference, evidence, thermodynamics, information, scarcity, home, density of water, te..
2023. 11. 17.
[동역학] 원심력과 구심력에 대한 질문 (F, r, direction, acceleration, handling, Fr, calculation, friction, vertical force, problem, information)
질문 요약F가 r 방향으로 가속도를 구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답변 요약Fr을 구하기 위해서는 r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계산해야 합니다. 마찰과 수직항력은 문제에 주어진 정보에 따라 고려되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이미지](https://godjunpyo.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8/202209/6313f1cf6cefa9096062.png)를 참고하세요.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F, r, direction, acceleration, handling, Fr, calculation, friction, vertical force, problem, information ) [동역학] 원심력과 구심력에 대한 질문에..
2023. 10. 25.
[회로이론] 교재 예제 7.6에서 테브난 등가회로를 사용한 이유 (textbook, example 7.6, captured photo, equivalent circuit, Rth, Vth, t = 0-(steady state of DC), circuit, right voltage source, 60V, polarity, magnitude, + and -, 1V, - a..
질문 요약교재 예제 7.6을 푸는데 캡쳐한 사진을 첨부했습니다. 교수님은 테브난 등가회로를 사용하여 Rth와 Vth를 구했는데, t = 0-(직류정상상태)에서의 회로를 그릴 때 우측 전압원이 60V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라서 질문을 드립니다.답변 요약안녕하세요. 문의하신 그림의 내용은 전압원의 극성과 크기에 관한 내용입니다. 극성이 +와 -인 전압원의 크기가 각각 1V인 경우와, 극성이 -와 +인 전압원의 크기가 -1V인 경우는 동일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해당 문제에서도 이 내용을 적용하여 그린 것입니다. 아래에 풀이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이미지](https://file.unistudy.co.kr/Data/SEDATA/hanna714__20231015001207.jpg)원본 ..
2023.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