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 텔로미어 단축과 DNA 복제에 대한 질문 (DNA, RNA, primer, removal, replication, telomere, shortening, DNA polymerase, exonuclease activity.)
질문 요약DNA 말단에 있는 RNA 프라이머가 누가 제거했는지, 그리고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쳐진 RNA 프라이머가 잘려나간 저 자리에는 왜 새로 복제가 일어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반적으로 텔로미어의 단축과 DNA 복제에 대해서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을 드립니다.답변 요약RNA 프라이머를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은 DNA 중합체의 5` -> 3` exonuclease 활성입니다. RNA 프라이머가 끝에 남는 이유는 RNA 프라이머가 앉을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DNA, RNA, primer, removal, replication, telomere, shortening, DNA polymerase, exonuclease activity. )..
2024. 3. 5.
[일반생물학] 단백질 2차 구조의 수소결합 관련 질문 (b-pleated sheet, a-helix, hydrogen bond, secondary structure, alpha helix, beta sheet structure, pH, body temperature, osmotic concentration, tertiary structure, quaternary structure..
질문 요약b-pleated sheet와 a-helix 형태에서의 수소결합 안정에 대해 궁금합니다.답변 요약단백질의 2차 구조는 알파 나선과 베타 병풍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수소결합에 의해 안정화됩니다. 이는 우리 몸의 pH, 체온, 삼투 몰농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중요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3차 구조와 4차 구조도 약한 상호작용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구조의 안정성에 항상성이 매우 중요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b-pleated sheet, a-helix, hydrogen bond, secondary structure, alpha helix, beta sheet structure, pH, body temperatu..
2024. 1. 12.
[일반생물학] 1강 3역 5계에 대한 질문 (3역 5계 체제, 현재 3역 6계 체제, 분류학, 분자 생물학적 분석 기술, 외형적 특징,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3역 6계, 캠벨 생물학 최신판 교재, 대학, 진..
질문 요약3역 5계 체제와 현재 3역 6계 체제에 대해 이해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정확한 분류 체계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답변 요약분류학은 분자 생물학적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외형적 특징만을 바탕으로 한 이전의 한계를 넘어서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3역 6계를 주로 학습하지만, 캠벨 생물학 최신판 교재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에서는 더 발전된 과학적 내용을 배웁니다. 예를 들어, 진핵세균역은 여러 프로테오박테리아 등으로 나뉘며, 고세균역에는 유르아케오테 등이 속합니다. 분류학이 얼마나 변화무쌍한지 감안할 때 교재는 3역만을 언급하고 일부 세부사항은 나중에 설명합니다. 이 변화의 예로 칼 우즈가 1990년에 3역만을 제시한 이후,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안되었습니다. 2015..
2024. 1. 9.
[일반생물학] 리보솜의 유무에 따른 소포체 구분과 핵막 연결 (RER, SER, ribosom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nuclear membrane, cell membrane)
질문 요약RER과 SER을 나누는 기준인 리보솜의 유무에 대해서는 알겠는데, RER은 핵막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SER도 핵막과 연결되어 있는 건가요?답변 요약거친면 내플라스마막과 매끄러운면 내플라스마막은 모두 핵막의 외막과 연속적입니다. 교재의 그림이 단순화되어 표현될 경우, 매끄러운면 내플라스마막이 핵막과 연속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두 구조는 리보솜의 존재 여부에 따라 구별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RER, SER, ribosom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nuclear membrane, cell membrane ) [..
2023. 12. 5.
세포호흡에서 에너지의 소비와 흡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cell respiration, energy, consumption, absorption, first law of thermodynamics, law of energy conservation, shape change, extinction, generation, ATP, muscle contraction, me..
질문 요약세포호흡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과 흡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해주세요.답변 요약열역학 제 1법칙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어가며 변하지만 소멸하거나 생성되지는 않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ATP는 근육 수축으로 기계적인 에너지로 바뀌어 필기나 물건을 들어올리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ell respiration, energy, consumption, absorption, first law of thermodynamics, law of energy conservation, shape change, extinction, generation, ATP, muscle contraction, mechanical ener..
2023. 12. 4.
혈액 내의 세포들과 림프구의 관계에 대한 의문 (Red blood cell, white blood cell, platelet, neutrophil, eosinophil, lymphocyte, lymph fluid, blood vessel, lymph node)
질문 요약고등학교 때 배웠던 혈액 구성성분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되고, 백혈구에는 호중구, 호산구, 림프구 등이 있다. 혈액 내의 모든 세포가 림프관으로 가면, 모든 세포는 림프액의 일부인 림프구로 간주되지 않나요? 따라서 혈관 내에 있는 세포들도 림프구라 부를 수 있을까요? 혈관 내와 림프절 내의 세포들을 모두 림프구로 간주하는 것이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혈액의 위치에 따라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 것이 아닌가요?답변 요약백혈구는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립형 백혈구는 호산성, 호중성, 호염기성 백혈구로 분류됩니다. 비과립형 백혈구에는 단핵구와 림프구가 있습니다. 림프구는 항체 생산 등 면역 기능을 담당합니다. T 림프구와 B 림프구는 생성 및 성숙 장소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
2023. 12. 1.
염색체, 염색사, 염색질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pigment, dyer, chromosome)
질문 요약염색체, 염색사, 염색질의 정확한 차이를 알려주세요. 염색사는 오개념인가요? 관계를 명확하게 정리해주세요.답변 요약염색질과 염색사는 모두 크로마틴을 의미합니다. 크로마틴은 응축되지 않은 이중 나선으로 구성된 유전물질을 의미하고, 염색체는 응축된 구조로서 분열과정에서 유전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응축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링크: https://ko.wikipedia.org/wiki/%EC%97%BC%EC%83%89%EC%A7%88) 참조해주세요.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igment, dyer, chromosome ) 염색체, 염색사, 염색질의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물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염색체', '염색사', '염색질'에..
2023.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