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교과서 22장 560p 그림 22-17(번역판) (point, D, B point, electric power line, interval, electric field, calculation, century, displacement, comparison, horizontal direction)
질문 요약점 D를 추가로 찍어보았습니다. 저는 처음에 B점보다 D점에서 전기력선 사이의 간격이 더 좁으므로 즉, 더 조밀하므로 D점의 전기장의 크기가 더 클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직접 계산해보니 B점의 전기장의 세기가 더 크게 나오는데, 전기력선을 이해하는 저의 방식에서 잘못된 점을 여쭤보고 싶습니다.답변 요약B점과 D점은 동일한 변위의 점이 아니므로, 제시된 그림으로는 대소관계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D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 B점을 D점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D점보다 클수도 있고, 작을수도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oint, D, B point, electric power line..
2024. 2. 7.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12강 00:37:23~00:38:12(예제 12-2)의 R(vector)에 대한 이해 (Horizontal direction, constant angle, contact between bar and wall, resistance, vertical resistance, frictional force, line of action of gravity..
질문 요약벽과 막대 사이의 R(vector)가 수평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싶습니다.답변 요약막대와 벽 사이의 접촉에 의한 힘은 항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힘은 수직항력과 마찰력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질점역학 시간에 다루었습니다. 입자계에 작용하는 힘을 생각해보면 중력 작용선과 장력의 작용선이 교점을 이루고, 나머지 힘은 이 교점을 향해 작용하게 됩니다. 이 힘을 R이라고 합니다. R의 성분을 나눠 수직항력과 마찰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Horizontal direction, constant angle, contact between bar and wall, resistance, verti..
2023. 11. 23.
Serway 대학물리학 교과서 예제 9-1: 중력과 수직항력 무시하고 운동량 고립계로 설정하는 이유에 대한 의문 (Exercise, vector, 2D motion,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gravity, normal forc..
질문 요약예제 9-1에서 '궁수와 화살에 작용하는 중력과 궁수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을 무시해도 되는 이유'에 대한 의문점이 있는데, 화살을 수평방향이 아닌 임의의 각도로 발사하는 경우에는 어떤 기준으로 운동량에 대해 고립계를 설정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러한 판단 기준에 대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예제 9-1의 판단 기준과 같은 방식으로 운동량에 대해 고립계, 비고립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요?답변 요약운동량은 벡터이고, 2차원 운동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눠 독립적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연직방향에는 중력과 수직항력 같은 힘이 작용하여 운동량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평방향에는 외력이 없으면 운동량에 변화가 없습니다. 그래서, 수평방향으로는 운동량에 대해 고립계라는 표현이 옳..
202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