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 복소전력과 수동부호규정에 대한 이해 (power, regulation, calculation, convenience, introduction, complex number, time domain, absorption, supply, judgment)
질문 요약교재에서 언급한 복소 전력이 수동부호규정을 따른다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답변 요약복소전력은 전력계산의 편의를 위해 도입된 복소수입니다. 복소전력은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되며, 실수부는 실제 전력을 나타내고 허수부는 무효전력을 나타냅니다. 복소전력의 실수부는 실제 전력을 정확히 반영하기 때문에 시간영역에서 전력의 흡수 및 공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소전력에도 시간영역에서 전력의 흡수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부호규정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평균전력과 시간 영역의 흡수 공급 여부가 일치하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교재 145페이지의 그림 1을 참고하시면 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ower, regulation, calc..
2023. 10. 25.
[회로이론] 회로이론 극성 설정에 관한 궁금증 (electronic circuit, sign, manual code regulation, circuit theory, voltage, polarity, current)
질문 요약교재 17,18쪽 문제에서 수동부호규정을 만족시키려면 + 또는 -를 아무렇게나 설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과연 본인이 설정한 극성으로 풀어도 문제가 없는지 알고 싶습니다.답변 요약전압의 극성과 전류의 방향을 결정할 때는 수동부호규정을 처음부터 고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정할 때 편하게 정한 후에 KVL(전압 법칙)과 KCL(전류 법칙)을 저항에 적용할 때 수동부호규정을 고려하여 연산하면 됩니다. 그러나 수동부호규정을 나중에 고려하게 되면 -부호와 +부호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electronic circuit, sign, manual code regulation, circuit..
2023.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