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일반물리학2 강의 3강 17분 50초 질문 (smile, denominator, numerator, smile length, electric field, continuous, distribution, equal interval, empirical law, Coulomb's law)
질문 요약de=dq/x^2이라고 쓰셨는데, 분모가 dq, 즉 미소전하이면, 분자도 dx^2이 아닌 x^2으로 써야 하나요?답변 요약전하가 연속적으로 분포하여 도체를 등간격으로 배분하였을 때, 미소 길이 dx로 지정된 지점으로부터 x만큼 떨어진 지점의 전기장을 y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경험법칙(쿨롱법칙)에 따르면 y는 x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전하밀도가 균일하다고 가정하면 dx = (dQ/λ)라는 표현이 가능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smile, denominator, numerator, smile length, electric field, continuous, distribution, equal interval, empirical law, Coulomb's l..
2024. 1. 30.
CO2의 이온결합화합물 여부에 대한 구별 방법 (CO2, ionic compound, molecule, nonmetal, covalent bond)
질문 요약CO2가 이온결합 화합물이 아닌 분자인지를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분자는 비금속 원소들이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의미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O2, ionic compound, molecule, nonmetal, covalent bond ) CO2의 이온결합화합물 여부에 대한 구별 방법 화학에서 물질을 구별하는 일은 굉장히 중요한데, 특히 물질이 이온결합 화합물인지 아니면 분자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그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여기서 주어진 문제는 이산화탄소(CO2)가 이온결합 화합물인지 아니면 분자인지에 대한 구별 방법입니다. 먼저, CO2는 이산화탄소로써 탄소(C)와 산소(O)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
2024. 1. 12.
[회로이론] 2차 필터에 대한 설명 요청 (2nd order filter, transfer function, 1st order filter, numerator, denominator, polynomial, Low Pass, High Pass, frequency response, All Pass Filter, classification, expert, professor, empirical data, a..
질문 요약2차 필터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분자에 상수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세요. [질문 이미지 1 : https://drive.google.com/uc?id=1uQigbdX9fGNzs1qmLR-BFetOsU5Fv3gk] [질문 이미지 2 : https://drive.google.com/uc?id=17gH2MAEy0DEy190gV3UUVRqDYTJBIlko]답변 요약질문하신 필터의 전달함수는 1차 필터에 해당하며, 분자와 분모가 모두 1차 다항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터가 Low Pass인지 High Pass인지에 대한 확실한 결론은 내릴 수 없으나, 주어진 조건만으로는 두 필터가 두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따라서 필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바탕으로 추..
2023. 12. 15.
[일반화학] 금속결합에서의 분자궤도 함수 (metallic bond, molecular orbital function, nonmetal, metal, carbon dioxide, air, metal cation, free electron, molecule, band model)
질문 요약금속결합에서 분자궤도 함수가 왜 필요한가요? 분자궤도 함수는 비금속과 비금속이 결합할 때만 사용되는 것 아닌가요?답변 요약금속은 일반적으로 분자로 존재하지 않으며, 이산화탄소와 같이 공기 중에서 별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금속을 미시적으로 바라보면, 금속 양이온과 자유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금속 양이온을 분자와 같이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 금속 양이온은 서로 비슷하고, 분자 오비탈이 겹치기 때문에 띠 모형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metallic bond, molecular orbital function, nonmetal, metal, carbon dioxide, air, metal cation, free elect..
2023. 12. 8.
유기화학 질문 - 분자오비탈 이론과 작용기 위치 관계 (Chemistry, organic chemistry, molecule, orbital, theory, electronegativity, electron density)
질문 요약1. 분자오비탈 이론에서 반결합성 오비탈의 전자 밀도가 양 끝쪽에서 낮다고 설명하셨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반결합성 오비탈 내에서 전자 밀도가 증가하지 않을까요? 2. 작용기 위치 관계에서 카보닐기는 위치를 따지지 않는 예외 규칙이 있는데, 나이트릴기에도 이 예외 규칙이 적용되나요? 3. 첨부 파일에서 케톤이라고 설명하셨는데, 왜 알데하이드가 아니라는 건가요? 또한, 수소 하나만 있어도 알킬기라고 할 수 있고, 케톤 안에 알데하이드가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4. SO2의 구조에 대해 여러 형태가 가능한 것 같은데, 그 중에서 단일-이중 결합을 한 산소의 비공유 전자쌍은 어떤 구조로 설명할 수 있나요? 또한, 황의 결합선은 최대 6개인가요?답변 요약1. 반결합성 오비탈을 고려하면 전자밀도가 ..
2023. 8. 23.
[바이오트 수와 열 저항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 (Heat transfer, Bio-t, length, diameter, Rcond, characteristic length, resistance, molecule)
질문 요약바이오트 수에 대한 설명에서 원통의 critical length인 Lc가 결국에는 diameter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Rcond와 관련하여 이해가 어려운점이 있는데, 특성길이와 그 저항의 분자에 들어가는 관계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 : https://drive.google.com/file/d/1PABqYY5Uge6AaM6TeK21NTQmGOqGgocX/preview?usp=drivesdk답변 요약Biot 숫자는 물체가 얼마나 빨리 온도가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입니다. 대류와 전도의 비율로 계산되며, Bi > 1일 경우 대류가 빠르게 일어나므로 물체가 빨리 식을 것이고, Bi < 1/6일 경우 대류가 느리게 일어나므로 물체가 느리게 식을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Lc가 R_..
2023. 8. 9.
이종원자 분자의 MO에서 2번째 껍질의 sigma와 pi 오비탈 순서를 배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Chemistry, molecule, atom, bond, electron, shell, sigma, pi, orbital, NO, CO, carbon monoxide)
질문 요약이종원자 분자의 MO를 그릴 때, 2번째 껍질의 sigma와 pi 오비탈의 순서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강의에서 NO의 경우 pi - sigma로 그리는데 인터넷에서는 sigma - pi로 그리고 있다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또한, CO(일산화탄소)의 경우 pi - sigma 순으로 그려지는데, 이것이 왜 그렇게 그려지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답변 요약pi-sigma 순서가 맞습니다. 이성분자들은 질소까지의 동종 분자들과 유사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ecule, atom, bond, electron, shell, sigma, pi, orbital, NO, CO, carbon mon..
2023. 8. 7.
[유기화학] 유기분자의 극성 (chemistry, molecule, structure, Lewis structure)
질문 요약루이스 구조에서 극성 분자는 친핵체로 간주되나요? C2H2는 무극성인데 친핵체 또는 친전자체가 아니라고 할 수 있나요?답변 요약친핵성도와 산성도, 염기성도는 항상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는 입체 장애, 원자 크기, 용매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F, Cl, Br, I는 친핵성과 염기도가 반대입니다. 아세탈렌은 무극성 분자이지만, 수소를 제거하면 탄소에 남은 전자로 인해 친핵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루이스 전자점식을 그리고 수소를 이탈시키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molecule, structure, Lewis structure ) 유기화학에서의 극성과 무극성 유기화학에서는 분자의 극성..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