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pka2

[일반화학] 산화수와 약산성 (water, protons, pKa, acids, bases, oxidation, reduction reactions) 질문 요약H2O2는 약산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온 전하를 비교했을 때 전기적 중성이 아닌 이유가 무엇인가요? 중성 분자에서 산화수의 합은 0으로 구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는데, H2O2과 산화수소는 약산성이지만 왜 산화수의 합이 0이어야 할까요? 어떤 것이 옳은 설명인가요?답변 요약과산화수소는 물보다 더 많은 양성자를 내놓을 수 있으며, 그 pKa는 약 12입니다. 반면, 물의 pKa는 15.7입니다. 산과 염기는 양성자의 이동과 관련이 있지만, 산화수의 변동 없이 산염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산화환원 반응에서는 산화수의 변동이 필수적입니다. 중성 분자에서 산화수의 합은 항상 0이어야 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water, protons, pK.. 2024. 1. 8.
[일반화학] 산-염기 평형에서 헨더슨 하셀바흐 식의 차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mountain, base, equilibrium, Henderson-Hasselbalch, Henderson, Hasselbalch, formula, pH, pKa) 질문 요약pH와 pKa는 mol/L인데 헨더슨 하셀바흐 식에서 뒷항의 log([A-]/[HA])는 차원이 없습니다. 이 둘이 어떻게 합쳐질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답변 요약핸더슨-하셀바흐 공식은 근사식으로, 양변의 차원이 같을 수 없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mountain, base, equilibrium, Henderson-Hasselbalch, Henderson, Hasselbalch, formula, pH, pKa ) 산-염기 평형과 헨더슨-하셀바흐 식에 대한 이해 산-염기 평형은 화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헨더슨-하셀바흐 식(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이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 식은 p.. 2023. 8.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