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유도과정2

[고체역학] 18강: 빔의 굽힘과 각도에 대한 이해 (beam, q(x) load, differential equilibrium relationship, external URL link, shear force, differentiation, sign, Cartesian coordinate, inductive process) 질문 요약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빔에 q(x)하중이 가해질 때, 왜 이하중이 위로 올라가는지 이해가 어려운데 이에 대한 differential equilibrium relationship을 설명해 주십시오. 이때 외부 URL 링크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더욱 이해가 잘될 것 같습니다. 이 방향에 따라 전단력의 미분의 부호도 바뀌는데, 이 부분도 설명해 주십시오. (질문 사진 : https://drive.google.com/uc?id=1l9Kp9DKPP-03auzXZqc8rm6ydEWdJRTm)답변 요약q의 부호가 위로 향할 때 +인 이유는 그런 부호규약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Cartesian coordinate에서 y방향이 위로 갈 때 +임을 감안하면 q(x)가 위로 갈 때 +로 보는 것이 좀더 자연스럽.. 2024. 2. 15.
[일반물리학] 할리데이 일반물리학 1 34강 요약: 줄의 전파속력과 파동의 에너지 보존 (physics, rope, speed of propagation, induction process, medium particle, tangential velocity, force, centripetal force, restoring force, gr.. 질문 요약줄의 전파속력의 유도과정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매질 입자의 접선 방향의 속도는 왜 0이 아니며 힘은 구심력이 아니라 복원력인가요? 그리고 왜 중력을 고려하지 않는 건가요? 또한 파동에서 에너지가 보존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장력이 비보존력인데 왜 에너지가 보존되는 걸까요?답변 요약네, 접선 방향 가속도는 0입니다. 이는 중력을 무시하고 인접한 입자에 작용하는 장력이 매우 작은 경우에 적용됩니다. 작은 줄 요소에 대해서는 장력이 한 일이 0이며, 줄 내부에서 장력에 의한 일은 상쇄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hysics, rope, speed of propagation, induction process, medium particle, tangentia.. 2023. 8.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