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일반물리학1 안듣고 일반물리학2 바로들어도 될까요? (Physics, final exam, progress, enrollment, nobase, electromagnetism, mechanics, dynamics, electrodynamics, magnetodynamics, optics, modern physics, lecture, concep..
질문 요약일반물리학2를 일반물리학1을 듣지 않고 듣고 싶습니다. 기말고사 진도를 따라가기 위해 수강하고 싶습니다. 물리의 특성상 노베이스인데 일반물리학1을 듣지 않고 일반물리학2를 듣어도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들어야 한다면 어느 단원만 듣고 넘어가도 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답변 요약전자기학은 일반물리학 II로, 일반물리학 I의 운동학과 역학을 기반으로 전기역학과 자기역학이 나옵니다. 기말고사 범위는 전자기 후반부, 광학, 현대물리학이며, 현재 업로드된 강의는 개념정립에 도움되는 강의입니다. 강의 수강은 개념을 정리하기에 도움이 되지만, 기말고사 대비 총정리용으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학물리학 I부터 차분하게 공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
2024. 1. 26.
표면장력에 대한 이해와 계산 방법에 대한 질문 (physics, mechanics, surface tension, circumference, consideration, calculation)
질문 요약표면장력은 왜 둘레에서만 고려되는가? 어떻게 계산되는가?답변 요약표면장력은 단위 표면에서 작용하는 힘인 surface energy를 나타내는 것으로, N/m로 표현됩니다. 이 값은 단위 길이당 작용하는 힘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액체 분자들이 고체나 기체와 닿는 부분이 둘레인 경우, 표면장력은 둘레 부분에서만 작용하며, 다른 면적은 고려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표면장력은 N/m로 표현되고, 면적 전체가 아닌 둘레 부분만을 고려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physics, mechanics, surface tension, circumference, consideration, calculation ) 표면장력에 대한 이해와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2023. 10. 5.
동역학 한방에 끝내기 38강 - T3 구하기와 v3의 의미 (physics, energy, dynamics, T3, point A, reference, interpretation, v3, v_B, differences)
질문 요약T3를 구하는 과정에서 A점을 기준으로 해석한 이유와 v3와 v_B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책에서 사용하는 기호와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에서 언급한 V3는 막대의 위치에너지와 탄성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운동에너지는 바닥에 떨어진 후에도 회전운동에너지로 남아있습니다. T3는 회전운동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이해에 참조할 수 있는 이미지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링크](https://godjunpyo.com/wp-content/uploads/kboard_attached/8/202301/63c78b9c22cc92335229.png) T1은 0이고 V1은 80 lb*ft입니다. 바닥에 떨어진 후, V3은 45 lb*ft이고 T3는 0.828*v_B^2입니다. V3은 막대..
2023. 9. 7.
[고체역학] 절댓값과 경계조건에 따른 모멘트 적분 결과 변경 / 이축응력에서 Z축의 영향 (mechanics, moment, integral, absolute value, boundary conditions, integration constant, sign convention, moment equation, deflection, ..
질문 요약모멘트를 적분할 때 절댓값을 취하면 경계조건과 적분 상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는데, 왜 이런 상황에서도 상관이 없는 것인가요? 또한, 이축응력에서 Z축은 고려하지 않고 XY축만을 고려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부호규약이 책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적분상수를 구할 때 모멘트 방정식에서는 절대값을 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deflection과 angle equation에서는 해당 위치의 값을 대입한 후에 절대값을 취하면 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곡률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beam이 위로 휘어진다는 가정을 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학부과정에서는 절대값만 구해도 되기 때문에, 제가 말씀드린대로 절대값을 적용하면 됩니다. 상세한 내용은 해당 교재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2023. 9. 6.
[고체역학] 고체역학 퍼펙트 완성 5강 문제풀이에서 strain energy 비교에 대한 질문 (dynamics, groove, load, vulnerability, strain energy density, separation, volume)
질문 요약강의에서 설명하신 내용 중, groove가 생기면 생길수록 load에 대해 취약해진다는 내용을 이해했는데, 이 부분이 맞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또한, strain energy density를 구하고자 한다면 groove 영역과 아닌 영역을 분리하여 부피를 나누어 구해야 할까요?답변 요약저장된 변형 에너지는 부재의 길이와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변형 에너지 밀도를 구하려면 총 변형 에너지를 부피로 나누어야 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dynamics, groove, load, vulnerability, strain energy density, separation, volume ) [고체역학] 고체역학 퍼펙트 완성 5강 문제풀이에서 strain ..
2023.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