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토크와 전단응력에 대한 질문 (talk, shear stress, direction, formula, sign convention, bottom right, BMD, SFD, consistent, value, calculation, shear stress, member, professor, bending, study, question)
질문 요약토크와 전단응력의 방향과 공식과의 관계에 대한 문의답변 요약질문의 핵심은 부호규약 있습니다. 토크의 경우 오른쪽 아래를 "+"로 정의하고, BMD나 SFD를 그릴 때도 오른쪽을 "+"로 정의합니다. 부호규약은 각각 다를 수 있어 학생들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일관된 부호규약을 따르고 그에 맞는 식을 사용하여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Torque나 Bending이든 부재에 작용하는 shear stress 개념은 같습니다. 따라서 학교에서 교수님이 정한 부호규약에 맞게 식을 세우고 문제를 풀면 됩니다. 굽힘에 의한 shear stress도 같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원본 바로가..
2023. 10. 24.
[고체역학] 전단응력 공식 유도시 dm/dx의 부호에 대한 질문 (stress, formula, induction, dm/dx, v, sign convention, shear force, moment, stress, calculation)
질문 요약전단응력 공식 유도시 dm/dx를 v로 적을 때, dm/dx가 -v인데 공식에서 그냥 v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답변 요약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모멘트에 의한 응력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부호규약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사용하는 부호규약은 책마다 다를 수 있으며, 부호규약을 알려주지 않으셨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영상과 godjunpyo.com의 자료를 참고하시면 전단력에 의한 전단응력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로, 해당 자료에서는 부호규약에 대한 언급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깊게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stress,..
2023. 10. 6.
[고체역학] 절댓값과 경계조건에 따른 모멘트 적분 결과 변경 / 이축응력에서 Z축의 영향 (mechanics, moment, integral, absolute value, boundary conditions, integration constant, sign convention, moment equation, deflection, ..
질문 요약모멘트를 적분할 때 절댓값을 취하면 경계조건과 적분 상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는데, 왜 이런 상황에서도 상관이 없는 것인가요? 또한, 이축응력에서 Z축은 고려하지 않고 XY축만을 고려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부호규약이 책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적분상수를 구할 때 모멘트 방정식에서는 절대값을 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deflection과 angle equation에서는 해당 위치의 값을 대입한 후에 절대값을 취하면 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곡률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beam이 위로 휘어진다는 가정을 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학부과정에서는 절대값만 구해도 되기 때문에, 제가 말씀드린대로 절대값을 적용하면 됩니다. 상세한 내용은 해당 교재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2023.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