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발생5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2 예제 36.4 - 굴절에 관한 질문 (Color, circle, refraction, light, phase, reflection, boundary, change, situation, air, SiO, boundary, Si, interference, phenomenon) 질문 요약사진에서 파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에서 n=1.45에서 n=1로 진행하므로 밀->소 가 아닌 왜 소->밀 일까요? 빛이 처음 굴절되서 온 n=1.45에서 n=3.5 소->밀이 계속 유지되는 건가요? (사진 링크: https://drive.google.com/uc?id=1jxz1w_5tkDUAvLC1ooSrYfmvPrOYH0fT)답변 요약위상 변화는 빛이 반사될 때 발생하며, 특히 밀도가 낮은 매질에서 밀도가 높은 매질로 빛이 입사하고 반사될 때 경계면에서 180도 변화합니다. 그림에서 파란색 부분은 빛이 투과하는 상황을 나타내므로 위상이 바뀌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공기와 SiO 경계에서 1번 빛이 반사되면 위상이 180도 바뀌지만, 2번 빛은 공기에서 SiO를 통과한 후 Si에서 반사되고 .. 2024. 1. 18.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 물리학 2 14강의 두 평행 도선 사이의 자기력을 구할 때의 고려사항 (Wire, occurrence, magnetic field, wire, actuality, all, consideration, force, physical quantities, interaction, example, current, m.. 질문 요약왜 전선 스스로 발생하는 자기장은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도선이 발생시키는 자기장만을 고려하는가요? 실제로는 두 도선이 모두 자기장을 발생시키므로 두 자기장을 모두 고려해야 할 텐데요.답변 요약힘은 두 물리량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효과입니다. 예를 들어 A에 의한 자기장내에 B에 의한 전류가 상호작용을 하여, 자기력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해 힘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만, 현대물리학에서는 자기력이 작용-반작용 법칙을 만족하지는 않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Wire, occurrence, magnetic field, wire, actuality, all, consideration, force, physical quantities.. 2023. 11. 20.
회로이론 11판 6단원 - 인덕턴스, 커피시턴스 및 상호 인덕스 문제 풀이 확인 요청 (inductor, continuity, understanding, confirmation, current, discontinuous, change, switch, movement, capacitor, voltage, occurrence, situation, .. 질문 요약인덕터에서의 전류 연속성에 대해 의문이 생기는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답변 요약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은 인덕터 전류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케이스이며, 일반적으로는 인덕터 전류의 연속성이 성립하지만 스위치 이동시 인덕터 전류와 커패시터 전압이 불연속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 주제는 회로의 주된 내용은 아니라서 7, 8장에서 본격적으로 다룰 때는 불연속이 발생하는 상황이 나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inductor, continuity, understanding, confirmation, current, discontinuous, change, switch, movement, capacitor, voltage, occurren.. 2023. 11. 17.
[유체역학] 표면력에 대한 이해와 관련 질문 (internet, searched content, force, water molecules, interface, summary answer, surface tension, external surface, fluid mechanics, chemistry.) 질문 요약인터넷에서 검색한 내용으로 표면력을 이해해도 되는지요?답변 요약표면장력은 물질과 물질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힘입니다. 물 분자끼리 서로 당기면서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성질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힘은 주로 물과 다른 물질 사이에서 작용합니다. 가장 잘 요약된 답변은 표면장력이란 물과 물 또는 물과 다른 물질 사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힘이며, 외부 표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 분자들이 서로 당기려고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주로 유체역학이나 화학에서 다루어지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internet, searched content, force, water molecules, interface, summ.. 2023. 10. 26.
[일반화학] 예제 6.3과 6.4의 연소 반응과 엔트로피 계산에 대한 질문 (SO2, CO, combustion reaction, generation, SO3, CO2, molar ratio, entropy calculation, -198.2, -566, dividing by 2, internal energy calculation, reason for using) 질문 요약예제 6.3과 6.4에서 SO2와 CO의 연소 반응에 대해 궁금합니다. 왜 SO2와 CO의 연소시 발생하는 SO3과 CO2의 몰 비율이 같지 않을까요? 또한, 엔트로피 계산에서 -198.2와 -566을 각각 2로 나누는 이유와 내부에너지 계산 시에 -566을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답변 요약엘탈피는 상태함수이므로 표준 엔탈피 값은 1몰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황 2몰의 엔탈피는 표준 엔탈피 값에 2를 곱해야 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SO2, CO, combustion reaction, generation, SO3, CO2, molar ratio, entropy calculation, -198.2, -566, dividing by 2.. 2023. 10.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