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비례3

[공업열역학] 공학장치에서 nozzle의 압력 및 단면적 관련 (Area, inverse, velocity, Bernoulli's principle, energy conservation, fluid, total energy, incompressible fluid.) 질문 요약압력은 단면적에 반비례하고 단면적이 2배 좁으니 P2가 더 압력이 세야하지 않나요?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관점에서는 압력이 약해진게 맞지만, 단면적 관점에서는 압력이 강해져야 하는데, 어떤 상황에서 어떤 관점을 두고 해석해야 하는 건가요? #압력 #노즐 #단면적답변 요약노즐에서의 압력이 감소하는 이유는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라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현상은 에너지 보존의 원리를 따라 유체의 총 에너지가 변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비압축성 유체에 대한 설명이며, 압축성 유체의 경우에는 더 복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Area, inverse, velocity, Bernoulli's.. 2024. 2. 21.
[생화학] 일반생물학 기본 단기완성 강좌 1강에서 궁금한 점 있습니다. (angle, sign function, buoyancy, inverse proportion, greater than 90 degrees, microscope observation, blue light, reflection mirror, lighting device, blue spec.. 질문 요약고등학생인 제가 이해하기 어려운 몇 가지 개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첫째, 사인세타(개구각)과 해상력이 비례한다는 내용에서, 사인값이므로 세타가 90도 이상일 때부터는 개구각과 해상력이 반비례할 것이라 추측했는데 제 추측이 맞을까요? 또한, 현미경 관찰에서 개구각이 90도 이상이 되는 경우가 드물기에 언급하지 않으신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둘째, 청색광의 해상력이 크다는 설명에서, 청색광을 반사경 또는 조명장치를 통해 주어야 하는 것인지, 또는 푸른 계열의 시약으로 시료를 염색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셋째, 1강 첨부파일에 있는 노트 필기 PDF파일에서 세포수 측정 예시문항이 있었는데, 배율이 100배일 때 세포수가 256개이고 400배일 때는 16개로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같은 부피에서 .. 2024. 1. 12.
열전달 28강에서 shear force 평균타우를 구하는 방법 (area, proportion, term, shear force, tau, average tau) 질문 요약면적에 반비례하고 1/x에 대한 텀으로 나오는 shear force 평균타우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답변 요약shear force 평균 타우의 값은 x값에 따른 shear stress의 평균값입니다. 이 값은 local shear stress의 2배와 동일하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면적이 xy인 것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열전달은 어려운 주제이지만, 계속해서 복습하고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유체역학과 공업수학과 같은 관련 과목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shear force 평균 타우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평균 shear stress 값은 local shear stress 값의 2배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면적이 xy인 이유와 x에 따른 적분 과정에 대한 이.. 2023. 8.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