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대기압2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19장 예제 19-6에 대한 의문점 (water, liquid,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density, gravity acceleration, depth, isobaric, maintenance, iso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change) 질문 요약이 예제를 풀면서 이해가 되지 않는 점과 의문점이 있습니다. 첫째로, 물이 액체 상태인 경우에도 물의 압력이 대기압 + (밀도 x 중력가속도 x 깊이)의 영향을 받는다면, 물 안에서도 압력 차이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물의 등압이 유지되는 걸까요? 둘째로, 등온팽창 상황에서 Q=mcΔT 식에서 Q가 0이 아닐 때에는 온도 변화가 0일 수 없다는데, 이 식을 Q=Q-W로 바꿔서 이해했는데 맞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답변 요약물의 깊이에 따른 압력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물의 표면과 내부 압력은 거의 같게 계산됩니다. 그러나 깊이가 깊어질수록 압력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비열을 의미하는 식인 Q=cmΔT는 1g의 물질을 1K 온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며, 온도 변화 없이도.. 2023. 12. 22.
[공업열역학] 열역학제대로끝내기 [2강] - 경계일과 밀폐계에 대한 질문 (pressure, isobaric process, expansion, Goryeo Dynasty, Ga Jun-pyo website) 질문 요약경계일을 구할 때 왜 등압과정이라는 이유로 Patm을 사용하나요? 그리고 왜 P1 대신에 Patm을 사용해야 할까요?답변 요약대기압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으며, 용수철이 없다면 등압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팽창이 발생하더라도 대기압은 항상 작용하므로 대기압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질문에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갓준표 사이트에 관련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으니 함께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갓준표 사이트 링크1](https://godjunpyo.com/열역학/?uid=344&mod=document&pageid=1#kboard-comments-344), [갓준표 사이트 링크2](https://godjunpyo.com/열역학-과열증.. 2023. 11.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