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chapter7] 예제 7.5 탄성력 그래프 이해 (elasticity, graph, direction of force, opposite, diagonal, understanding, force-position graph, gravity, deformation, work)
질문 요약예제 7.5에서 탄성력 그래프가 힘의 방향이 반대라서 오른쪽 아랫쪽 대각선으로 그려졌는데, 해당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질문 이미지 : https://drive.google.com/uc?id=1rIGM6x1nja36w1QTg-6kAiCgwStUcuum)답변 요약힘-위치 그래프를 통해 중력과 탄성력을 해석합니다. 중력은 아랫방향으로 작용하고 크기는 일정하며, 탄성력은 윗방향으로 작용하고 크기는 변형의 크기에 비례합니다. 그래프의 넓이는 중력이나 탄성력이 한 일의 양을 나타냅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elasticity, graph, direction of force, opposite, diagonal, understanding, force-pos..
2024. 2. 13.
[일반물리학] 예제22.5 풀이 (Physics, lecture, question, multiplication, relationship, substitution method, system of equations, uniform acceleration motion, graph, displacement)
질문 요약물리학2 강의 2강 1:11:10초 쯤에서 d=1/2*VT와 qE/m=V/T를 곱해서 푸셨는데 이 두 식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어서 곱해 푸셨는지 질문드립니다. 수학을 잘 못해서 왜 이렇게 풀 수 있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귀찮은 방법이었지만 저는 T=2d/V를 gE/m=V/T에 대입해서 좀 복잡하게 풀었거든요..근데 교수님은 바로 곱해서 간단하게 푸셔서 궁금했습니다..!답변 요약말씀하신 것 처럼 연립방정식 중 '대입법'을 활용해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도 풀 수 있습니다. 등가속도 운동의 그래프를 보면, 그래프의 밑넓이는 변위에 해당하고, 삼각형 넓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삼각형 넓이와 동일한 사각형 넓이를 만들 수 있다면, 그 높이는 V/2이며, 이 속도가 평균속도..
2024. 2. 5.
그래프에서 일차함수와 유리함수의 변화 (graph, a, linear function, after, rational function)
질문 요약그래프에서 a까지는 일차함수지만 그 이후부터는 왜 유리함수로 되는 것인가요?답변 요약절연체 구의 내부 전기장은 거리에 비례하고, 외부 전기장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가우스 법칙과 구각정리에 의한 것으로 문제 해설 시 함께 설명하고 있으니,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 가우스 법칙 예제 풀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graph, a, linear function, after, rational function ) 그래프에서 일차함수와 유리함수의 변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우리는 해당 함수의 정의와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특히 물리학에서는 전기장 같은 물리량을 함수로 표현하고 그래프로 나타내는 경우가 ..
2023. 12. 8.
[일반물리학] serway 대학물리학 15장 강의에서 설명된 운동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함수에 대한 질문 (oscillator, energy, motion energy, potential energy, average value, linear form, maximum value, minimum value, simple ha..
질문 요약대학물리학 강의에서, 한 주기동안 단조화 진동자의 운동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 평균 값이 1/4KA^2라고 설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가 선형 형태가 아닌데도 특이하게 평균값=(최댓값+최솟값)/2인 특성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도 될까요?답변 요약단진동 함수는 사인(sin)이나 코사인(cos) 함수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면, x(t)=Asin(wt)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속도 역시 v(t)=Aw(cos(wt))로 표현 가능합니다. 운동 에너지는 (1/2)mv^2로 나타나며, 시간에 따른 함수이므로 운동 에너지 역시 시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에너지의 평균은 sin^2(wt)의 한 주기 평균값, 즉 1/2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로 인해 평..
2023. 12. 7.
serway 대학물리학 2 chapter 26. 전류와 저항의 평균 유동 속력 이해에 관한 (average velocity, graph, peak, median, maintenance, understanding, electron, actual speed, phase, transmission, pattern, average speed)
질문 요약교수님 평균 유동 속력이 그래프의 최고점에서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중간값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왜 그렇지 않은 건가요?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사진 첨부: https://drive.google.com/uc?id=180eXURNbEkvS98Cm8-JM8Csv-22rTttf)답변 요약전자의 유동속도는 전자가 실제로 이동하는 속도가 아니라, 전자의 위상이 전달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전자들은 전기 전도 모형에서 가속과 충돌을 반복하며 복잡한 궤도를 그립니다. 이때 전달되는 패턴의 속도를 유동속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속도는 평균 속도와는 다른 개념이며, 위상 속도에 가깝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전자들이 이동하는 실제 속도가 아니라 전달되는 패턴..
2023. 12. 7.
[고체역학] 3대역학 한방에 끝내기 - 5강 strain energy (formula, W, 1/2, P, δ, induction, energy, force, distance, deformed material, length, linear, straight line, graph, integral, area, understanding)
질문 요약공식 W = 1/2 * P * δ는 어디서 유도된 것인가요?답변 요약에너지는 힘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재료역학에서의 에너지는 변형된 재료의 길이에 따라 필요한 힘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이 때 필요한 힘과 길이를 곱해서 구한 값이 에너지입니다. 따라서 힘과 거리에 대한 그래프는 직선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적분을 취해주면(넓이를 구해주면) 1/2 * 힘 * 거리의 값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formula, W, 1/2, P, δ, induction, energy, force, distance, deformed material, length, linear, straight l..
2023.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