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p값과 검정통계량의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Z0, significance level, p-value, confidence interval, significance probability, test statistic, rejection threshold, null hypothesis)
질문 요약Z0와 유의수준 간의 관계 및 p값에 대한 보충 설명을 부탁드립니다답변 요약P값은 모비율을 나타내는 P와는 다른 개념이다. P값은 유의확률을 의미하는데, 검정통계량 Z의 절대값보다 클 확률을 나타낸다. 또한, Z₀는 기각치로서 유의수준(알파)을 나타내며, P값이 유의수준보다 작을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P는 모비율, P값은 유의확률, Z₀는 기각치, Z는 검정통계량을 나타낸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Z0, significance level, p-value, confidence interval, significance probability, test statistic, rejection threshold, null hypothesis ) 통계학에서..
2023. 12. 13.
[통계학] 대응자료의 검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corresponding material, black, Ud, Ud0, hypothesis, test statistic, value 5)
질문 요약대응자료의 검정에서 Ud와 Ud0의 의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또한, 가설 설정과 검정통계량 계산에서 5라는 값을 대입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세요.답변 요약대응비교에서는 하나의 대상을 두 번 측정한 값들 간의 차이를 이용해 모집단의 통계를 추정하거나 검정합니다. 이를 위해 t분포를 사용하며, 표본의 관측치를 이용하여 사건 전과 후의 차이를 나타내는 새로운 변수를 사용합니다. 가설 검정을 위해 귀무가설을 모집단의 차이의 평균이 5kg 이하이고, 대립가설을 모집단의 차이의 평균이 5kg보다 크다로 설정합니다.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orresponding material, black, Ud, Ud0, hypothesis, test statistic, value ..
2023. 12. 12.